* 자세한 기구별 활동평가는 자료집 pp.15 ~ 54에서 볼 수 있습니다
We design and build digital products people enjoy using...
Hey! Recently we were working on a project for ..We design and build digital products people enjoy using...
We are a Creative Digital Agency based in Buenos Aires, Argentina. We take pride in designing and building...
A new project is an opportunity to create something unique.We are a Creative Digital Agency based in Buenos Aires, Argentina. We take pride in designing and building...
As an interdisciplinary agile team, our production process is flexible, collaborative, and adapts to each client’s needs
We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you on your next projectAs an interdisciplinary agile team, our production process is flexible, collaborative, and adapts to each client’s needs
We are working on the UX/UI design for a large hotel owners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mpany.
Style Tiles are always a good option to show work in progress!We are working on the UX/UI design for a large hotel owners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mpany.
More shots with final designs coming soon.
You can check the attachment for a full view..More shots with final designs coming soon.
we streamline the process without having to make multiple mockups.
This is a proposal to add value to a crowdfunding listing pagewe streamline the process without having to make multiple mockups.
Style tiles serve as a flexible starting point that helps us easily communicate the essence of a visual brand for the web.
Clients easily understand themStyle tiles serve as a flexible starting point that helps us easily communicate the essence of a visual brand for the web.
We are working on an exciting project for a company in the investment business. Stay tuned!
we have a lot of fun during this phase.We are working on an exciting project for a company in the investment business. Stay tuned!
We design and build digital products people enjoy using...
Hey! Recently we were working on a project for ..We design and build digital products people enjoy using...
We are a Creative Digital Agency based in Buenos Aires, Argentina. We take pride in designing and building...
A new project is an opportunity to create something unique.We are a Creative Digital Agency based in Buenos Aires, Argentina. We take pride in designing and building...
As an interdisciplinary agile team, our production process is flexible, collaborative, and adapts to each client’s needs
We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you on your next projectAs an interdisciplinary agile team, our production process is flexible, collaborative, and adapts to each client’s needs
We are working on the UX/UI design for a large hotel owners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mpany.
Style Tiles are always a good option to show work in progress!We are working on the UX/UI design for a large hotel owners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mpany.
More shots with final designs coming soon.
You can check the attachment for a full view..More shots with final designs coming soon.
we streamline the process without having to make multiple mockups.
This is a proposal to add value to a crowdfunding listing pagewe streamline the process without having to make multiple mockups.
Style tiles serve as a flexible starting point that helps us easily communicate the essence of a visual brand for the web.
Clients easily understand themStyle tiles serve as a flexible starting point that helps us easily communicate the essence of a visual brand for the web.
We are working on an exciting project for a company in the investment business. Stay tuned!
we have a lot of fun during this phase.We are working on an exciting project for a company in the investment business. Stay tuned!
We design and build digital products people enjoy using...
Hey! Recently we were working on a project for ..We design and build digital products people enjoy using...
We are a Creative Digital Agency based in Buenos Aires, Argentina. We take pride in designing and building...
A new project is an opportunity to create something unique.We are a Creative Digital Agency based in Buenos Aires, Argentina. We take pride in designing and building...
As an interdisciplinary agile team, our production process is flexible, collaborative, and adapts to each client’s needs
We look forward to working with you on your next projectAs an interdisciplinary agile team, our production process is flexible, collaborative, and adapts to each client’s needs
We are working on the UX/UI design for a large hotel owners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mpany.
Style Tiles are always a good option to show work in progress!We are working on the UX/UI design for a large hotel owners and hospitality management company.
* 자세한 기구별 활동평가는 자료집 pp.15~54에서 볼 수 있습니다
● 주요활동 ○ 성명 ◎ 논평 ▒ 발행물 ♢ 기타
● 콜텍 노동자 복직을 위한 끝장투쟁 선포 기자회견 (1. 8.)
● 조재범 성폭력사건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근본대책 마련 촉구
기자회견 (1. 10.)
● 스포츠 적폐청산 팟캐스트 ‘스포츠비데위’ 방송 (지속)
● 2019년 미디어시민단체가 제안하는 11대 개혁과제 기자간담회 (1. 23.)
● (가칭) ‘서울지역문화협치네트워크’ 정기모임 (지속)
○ ‘문화체육관광부의 안일한 상황인식, 발뺌, 궤변, 무책임 · 불감증을 강력히 규탄한다!’ (1. 17.)
○ ‘대한체육회의 셀프개혁을 규탄한다!’ (1. 22.)
○ ‘올림픽정신 준수하여 가리왕산을 원상 복구하라!’ (1. 25.)
◎ ‘대한올림픽위원회(KOC) 분리는 대한민국 체육개혁을 위한 첫 단추’ (1. 25.)
● ‘아동 · 청소년 연기자 노동인권 개선공동행동’ 연대활동 (지속)
● ‘체육계 성폭력, 폭력 근절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출범 (2. 14.)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 민사소송 민변 워크숍 (2. 22. ~ )
● ‘2019 서울 퀴어문화축제’ 개최 기자회견 (2. 26.)
● 대중음악 시상식 콜텍 홍보전 (2. 26.)
◎ 반복되는 지역문화재단 인사 참사에 부쳐 “지역문화재단의 정치적 사유화를 중단하라!” (2. 15.)
◎ ‘혁신과 개혁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문화부 인사정책’ (2. 19.)
◎ ‘한국 엘리트 체육계의 드러난 민낯,
완전한 개혁만이 답이다.’ (2. 27.)
▒ 2019 문화연대 정기총회 자료집
(2. 18.)
♢ [ 서한 ]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님께’ (2. 22.)
● 3 · 8 여성대회 ‘스포츠미투’, ‘메달보다 인권’ 캠페인 (3. 8.)
● 동네예술 대화모임 ‘동네예술책빵’
(3. 15 ~ )
● 기술+미디어문화위원회 ‘테크노미디어문화포럼’ (3. 20. ~ )
● 기획토론회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3. 22.)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 민사소송인 전체 워크숍 (3. 25.)
● 콜텍 노동자 복직을 위한 라이브 에이드 (Live Aid) ‘기타를 던져라’ (3. 28. ~ 29.)
◎ ‘문화예술계와 체육계 #Me Too, #With You는 계속되어야 한다’ (3. 7.)
◎ ‘문재인 정부, 지금은 문화행정을 혁신하고 관료주의를 개혁할 문화부장관이 필요한 때’ (3. 14.)
◎ ‘성폭력, 성범죄 해결을 위해 ‘버닝썬게이트’의 철저한 조사를 촉구한다’
(3. 29.)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 피해자 집단소송 원고인단 전체 워크숍
자료집 (3. 26.)
♢ [ 칼럼 ] 콜텍 박영호 사장에게
문화연대가 보내는 편지 (3. 21.)
● ‘메달보다 인권’ 현장 캠페인 :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 (4. 7.)
● 공동기획강좌 ‘나를 바꾸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페미니즘’ (4. 18. ~ )
● 서울체고교사 김○○ 성폭력사건
재고소장 제출 기자회견 (4. 22.)
● 투쟁 4,464일만에 콜텍 노동자 복직
노사합의 (4. 23.)
● 기획토론회 ‘광화문광장 거버넌스,
어떻게 진행되었나’ (4. 25.)
○ ‘막무가내 안하무인 갑질 선거유세로스포츠를 모욕한, 자유한국당 황교안 당대표와 강기윤 후보의 통렬한 반성과 사과를 촉구한다!’ (4. 2.)
◎ ‘새로운 광화문광장은 광장인가.
공원인가. 관광상품인가.’ (4. 12.)
● ‘경의선공유지 문제 해결과 철도부지 공유화를 위한 범시민공동대책위원회’ 출범 (5. 1.)
● 긴급토론회 ‘세계보건기구 게임
질병코드 분류 추진, 무엇이 문제인가’ (5. 3.)
● 제9회 맑스코뮤날레 세션
‘커먼즈라는 계기와 새로운 좌파 기획의 가능성’ (5. 26.)
○ ‘게임 질병코드 분류에 대한 한국
정부의 입장은 ‘추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므로 찬성할 수 없다’이어야
합니다. 이에 대한 문재인 정부의 입장을 묻습니다.’ (5. 22.)
◎ 스포츠혁신위의 첫 번째 권고문에 대한 문화연대 입장 (5. 7.)
▒ 테크노미디어포럼 ❷ 문화산업
노동구조와 아이돌 · 연습생 자료집
(5. 22.)
♢ [ 서한 ]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에게
보내는 서한 (5. 2.)
● 어반 잼 투어 프로젝트 : 영광 법성포
(6. 1. ~ 2.)
● ‘메달보다 인권’ 현장 캠페인 :
2019 서울퀴어문화축제 (6. 1.)
● 문화연대 창립 20주년 비전 수립을 위한 집행위원회 워크숍 (6. 3.)
● 문화연대 홈커밍데이 ‘문화연대와 따로 또 같이’ (6. 14.)
● 멜론 저작권료 편취 의혹 규탄 기자회견 (6. 20.)
● 스포츠인권네트워크 ‘보아(VOA)’
결성 (6. 24.)
● 생활예술위원회 ‘즐거운, 공공하는
생활문화포럼’ (7. 10. ~ )
● 경의선공유지 위법적 펜스 설치
강행, 마포구청 규탄 긴급 기자회견
(7. 16.)
● 서울시 공공조성시설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7. 25. ~ )
● 공동체상영과 이야기자리
‘시민력을 깨우는 영화읽기’ (7. 27. ~ )
○ [ 공동 ] ‘한국체대는 비리 교수
전명규를 즉각 파면하라!’ (7. 3.)
○ [ 공동 ] ‘SBS는 소속 언론인 성폭력
사건에 조직적 책임을 다하라’ (7. 12.)
○ ‘마포구청은 시민을 가두는
불법감금을 중단하고, 철도시설공단은 경의선공유지 개발계획을 투명하게
공개하라’ (7. 16.)
◎ ‘멜론의 저작권료 횡령 사건, 음악
산업의 공정화와 정상화를 위한 재논의 기회가 되어야 한다.’ (7. 3.)
● 서울프린지페스티벌 ‘청년예술
마이크로포럼’ (8. 20.)
● 문화연대 ·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
공동세미나 ‘문화의 시선으로 게임을
논하다’ (8. 21.)
● 긴급토론회 ‘위협받는 예술, 위기의
민주주의 : 아이치트리엔날레
검열사태를 중심으로’ (8. 22.)
○ [ 공동 ] 평화의 소녀상 및 ‘표현의
부자유전(展) · 그 후’ 기획 전시에 대한 폐쇄 결정을 철회하라! (8. 6.)
○ ‘학교법인 계원학원은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 실행자였던
현 송수근 총장에 대한 임명을 즉각
철회하라’ (8. 7.)
◎ [ 공동 ] ‘유엔 프라이버시 특보,
한국의 프라이버시 침해에 우려를
표하며 개선 권고’ (8. 2.)
▒ [ 긴급토론회 ] ‘위협받는 예술,
위기의 민주주의 ; 아이치트리엔날레
2019 검열사태를 중심으로’ 자료집
(8. 22.)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실행자
송수근 계원예술대학교 총장 임명 반대
기자회견 (9. 2.)
● 미래혁신포럼 커먼즈세션 사전
워크숍 ‘커먼즈 기반 플랫폼 설계를
위한 기술적 전제들’ (9. 6.)
● 문화연대 창립 20주년 기념포럼
‘문화연대 · 운동, 무엇을 할 것인가’
(9. 18.)
● 방송사 음악프로그램 음원 제작 및
수익 분배에 관한 불공정 관행 해결을
위한 기자회견 (9. 19.)
● 9 / 21 세계 기후위기 비상행동 (9. 21.)
♢ [ 공개질의서 ] ‘계원예술대학교 블랙리스트 사태 총장 임명건에 대한 공개 질의서’ (9. 2.)
● ‘메달보다 인권’ 현장캠페인 : 100회 전국체전 개막식 (10. 4.)
● 문화연대 창립 20주년 기념식 +
후원의 밤 ‘이십전심 이심전심’ (10. 10.)
● 문화연대 창립 20주년 기금마련
특별전시 ‘장수의 비결 2’ (10. 15. ~ 27.)
● 시민강좌 ‘분단과 평화 사이를
메우는 문화교류’ (10. 17. ~ )
● 활동가를 위한 야학 : 활동가의
동아시아 정세읽기 (10. 31. ~ )
● 게임과 질병코드, 게임과 게임문화 연구 (지속)
● 활동가를 위한 야학 : 활동가의
책읽기 (11. 1. ~ )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적폐청산 운동 3주년 대토론회 (11. 4.)
● 2019 문화활동가대회 ‘문화UP다.
업. 없. 엎’ (11. 15. ~ 17.)
● 어반 잼 투어 프로젝트 : 전남 고흥 (11. 24. ~ 25.)
● 서울시 지역문화생태계 활성화방안 연구 (지속)
● 아시아 문화예술교육 동향 연구
▒ 테크노미디어문화포럼 ❻ :
산업 논리에 가려진 게임산업 개발자의 노동환경 자료집 (11. 22.)
● 문화연대 2019년 송년의 밤 (12. 23.)
●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네트워크
사회 전시콘텐츠 연구 (지속)
● 주요활동 ○ 성명 ◎ 논평 ▒ 발행물 ♢ 기타
항목 | 과목 | 금액 |
후원금 | 정기후원금 | 174,168,660 |
일시후원금 | 95,872,239 | |
특별후원금 | 147,785,573 | |
윤봉선기금 | 1,000,000 | |
소계 | 418,826,472 | |
지원금 | 일자리 지원금 | 7,102,000 |
소계 | 7,102,000 | |
사업비 | 지원사업비 | 32,440,000 |
소계 | 32,440,000 | |
기타 | 이자 | 31,047 |
잡수입 | 15,492,568 | |
차입금 | 54,000,000 | |
회수금 | 8,346,800 | |
소계 | 77,870,415 | |
수입 합계 | 536,238,887 | |
전년도 이월금 | 73,323,108 | |
수입 총계 | 609,561,995 |
항목 | 과목 | 금액 |
인건비 | 활동비 | 163,209,377 |
상여금 | 1,400,000 | |
소계 | 164,609,377 | |
일반 운영비 | 4대보혐료 | 24,297,780 |
복리후생비 | 580,000 | |
교육훈련비 | - | |
임차관리비 | - | |
수도광열비 | 1,533,800 | |
비품소모품비 | 3,617,400 | |
통신비 | 4,140,493 | |
세금공과금 | 361,300 | |
일반보험료 | 900,000 | |
수수료 | 741,280 | |
소계 | 38,010,453 | |
사업비 | 일반사업비 | 2,794,425 |
기구사업비 | 8,318,080 | |
지원사업비 | 31,543,293 | |
특별사업비 | 65,201,982 | |
연대사업비 | 158,363,820 | |
소계 | 266,221,600 | |
기타 | 잡지출 | 950,520 |
차입금상환 | 92,000,000 | |
대여금 | 8,232,800 | |
소계 | 101,183,320 | |
지출 합계 | 570,024,750 | |
차년도 이월금 | 39,537,245 | |
지출 총계 | 609,561,995 |
문화연대는 지난 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2019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에 지속해온 운동의 부족한 점을 성찰했고, 산적한 운동과제들을 비롯해 이전에 없던 사회문제들과
전지구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문화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설정했습니다.
2020년은 <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2019 선언>에 담은 운동비전을 본격적으로 실천해나가는 첫 해입니다.
먼저 문화연대 운동의 핵심원리로 ‘커먼즈’, ‘페미니즘’, ‘생태주의’, ‘사회운동과의 연대’를 채택하고,
조직 운영 전반에서 변화를 꾀합니다. 핵심원리가 조직의 일상 운영과 활동 규범에서부터
의제별 활동의 계획 - 실행 - 평가 과정에 투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운동의 핵심전략으로는 ❶조직운동의 혁신과 성장 ❷ 문화정책 감시개혁 및 제도개선
❸ 대안적인 시민력, 시민문화의 토양 마련 ❹ 대안문화이론과 담론 연구 및 사회적 공유를 유지하되,
올해는 각 운동전략을 특화해 운영하고 있는 사무처, 문화정책센터, 시민자치문화센터,
문화사회연구소의 협업과 자원 공유를 촉진하고 선순환 과정을 만드는데 역점을 둡니다.
올해의 핵심운동의제는 선언에서 담고 있는 미래방향과 현재의 정세적 필요성을 고려해 집중점을 잡았고,
다음과 같습니다. ❶ 공유자원(커먼즈) 기업 · 행정 독점반대 ❷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적폐청산
❸ 공정하고 다양한 대중음악 생태계 만들기 ❹ 기후위기 대응과 생태적 문화사회 만들기
❺ 모두를 위한 스포츠 (Sport For All) ❻ 평화체제를 위한 탈분단 문화운동.
올해 문화연대는 (가칭)‘블랙리스트 사태 특별위원회’와 (가칭) ‘기후위기 문화행동’이 신설되어
총 10개의 활동기구를 운영합니다. 활동기구가 많아지면서 기구별 활동내용을 공유하고
활동이슈를 토론하는 집행위원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격월 주기 집행위원회 내부 토론회와
반기별 워크숍을 통해 활동과정 평가와 운동전략 토론을 활성화합니다.
내부 커뮤니티 운영에도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가 시작됩니다. 문화연대 활동과정에 참여하고
회원 간 교류가 가능하도록 분기별로 회원모임을 진행합니다. 또한 문화과학 편집위원회와 협력해
신규 발간되는 ‘문화과학’의 특집 주제 마다 강좌 프로그램을 개설해 회원들을 초대하고,
회원들이 모임, 세미나, 회의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사무실 공간을 공유합니다.
문화연대가 운동과정을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방법에도 몇 가지 새로운 시도가 있을 예정입니다.
‘페이스북’ 중심이었던 SNS 활동이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활동까지 넓어집니다.
활동콘텐츠 역시 텍스트 중심에서 이미지와 동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변화합니다.
또한 운동담론을 소개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웹매거진을 창간합니다.
* 자세한 기구별 활동계획은 자료집 pp. 73 ~ 114에서 볼 수 있습니다
문화연대는 지난 해 창립 20주년을 맞아 <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2019 선언>을 발표했습니다. 기존에 지속해온 운동의 부족한 점을 성찰했고, 산적한 운동과제들을 비롯해 이전에 없던 사회문제들과 전지구적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문화운동의 방향과 과제를 설정했습니다.
2020년은 <문화사회 실현을 위한 2019 선언>에 담은 운동비전을 본격적으로 실천해나가는 첫 해입니다. 먼저 문화연대 운동의 핵심원리로 ‘커먼즈’, ‘페미니즘’, ‘생태주의’, ‘사회운동과의 연대’를 채택하고, 조직 운영 전반에서 변화를 꾀합니다. 핵심원리가 조직의 일상 운영과 활동 규범에서부터 의제별 활동의 계획 - 실행 - 평가 과정에 투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운동의 핵심전략으로는 ❶조직운동의 혁신과 성장 ❷ 문화정책 감시개혁 및 제도개선 ❸ 대안적인 시민력, 시민문화의 토양 마련 ❹ 대안문화이론과 담론 연구 및 사회적 공유를 유지하되, 올해는 각 운동전략을 특화해 운영하고 있는 사무처, 문화정책센터, 시민자치문화센터, 문화사회연구소의 협업과 자원 공유를 촉진하고 선순환 과정을 만드는데 역점을 둡니다.
올해의 핵심운동의제는 선언에서 담고 있는 미래방향과 현재의 정세적 필요성을 고려해 집중점을 잡았고, 다음과 같습니다. ❶ 공유자원(커먼즈) 기업 · 행정 독점반대 ❷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적폐청산 ❸ 공정하고 다양한 대중음악 생태계 만들기 ❹ 기후위기 대응과 생태적 문화사회 만들기 ❺ 모두를 위한 스포츠 (Sport For All) ❻ 평화체제를 위한 탈분단 문화운동.
올해 문화연대는 (가칭)‘블랙리스트 사태 특별위원회’와 (가칭) ‘기후위기 문화행동’이 신설되어 총 10개의 활동기구를 운영합니다. 활동기구가 많아지면서 기구별 활동내용을 공유하고 활동이슈를 토론하는 집행위원회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격월 주기 집행위원회 내부 토론회와 반기별 워크숍을 통해 활동과정 평가와 운동전략 토론을 활성화합니다.
내부 커뮤니티 운영에도 작지만 의미있는 변화가 시작됩니다. 문화연대 활동과정에 참여하고 회원 간 교류가 가능하도록 분기별로 회원모임을 진행합니다. 또한 문화과학 편집위원회와 협력해 신규 발간되는 ‘문화과학’의 특집 주제 마다 강좌 프로그램을 개설해 회원들을 초대하고, 회원들이 모임, 세미나, 회의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사무실 공간을 공유합니다.
문화연대가 운동과정을 사회적으로 공유하는 방법에도 몇 가지 새로운 시도가 있을 예정입니다. ‘페이스북’ 중심이었던 SNS 활동이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활동까지 넓어집니다. 활동콘텐츠 역시 텍스트 중심에서 이미지와 동영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변화합니다. 또한 운동담론을 소개하고 현장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웹매거진을 창간합니다.
* 자세한 기구별 활동 계획은 자료집 pp.73 ~ 114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운동전략 | 주요 활동 및 사업 | 활동기구 |
조직운동의 혁신과 성장 | [ 1 ] 의제별 운동전략 토론 활성화 : 연속 워크숍, 운동자료 아카이빙 및 공유 [ 2 ] 커먼즈, 페미니즘, 기후위기 운동의 일상적 실천 : 활동규칙과 조직운영 매뉴얼에 반영 [ 3 ] 운동과정에 대한 사회적 공유 확대 : 웹매거진 발행, 영상 콘텐츠 제작, SNS 특성화 [ 4 ] 지속가능한 조직 만들기 : 회원 커뮤니티 사업 및 후원캠페인 추진, 활동가 교육 강화 | 사무처 |
문화정책 감시개혁 및 제도개선 | [5] 제21대 국회의원선거 대응 : 정책제안서 발표, 정책협약 추진, 공약이행 협의체 구성 [6] 중앙정부 및 서울시 정책, 사업, 예산 모니터링 : 문화정책 브리핑ㆍ이슈페이퍼 발행 [7] 문화정책 전문가 및 신진 주체 풀 형성 : 주요 운동의제별 활동가 - 전문가 모임 운영 [8] 문화정책과 운동전략 · 과제 연구 활성화 : 주요 연구과제별 활동가 - 연구자 모임 운영 | 문화정책센터 |
[9] 생활문화 담론 및 정책 관련 공론장 운영 : 연속포럼 ‘즐거운, 공공하는 생활문화’ 진행 [10] 생활문화ㆍ생활예술 정책 · 사업(중앙정부, 지방정부) 감시와 대안 제시 | 생활예술위원회 | |
대안적인 시민력, 시민문화의 토양 마련 | [11] 새로운 가족가치, 가족문화의 확산 : 서울시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 [12] 문화기반시설의 새로운 운영모델 실험 : 돌곶이생활예술문화센터 · 서울로 7017운영 [13]시민력ㆍ자율민주주의 직접행동 : 책 - 영화 읽기, 릴레이포럼, 연구조사 및 아카이빙 등 [14] 대안문화 기획 프로젝트 : ‘이야기청’, ‘어반 잼 프로젝트’, ‘사이드캣’ [15] 지역문화생태계 구축과 협력 : (가칭)서울지역문화협치네트워크, 지역문화활동가대회 | (사)시민자치 문화센터 |
대안문화이론 연구 및 사회적 공유 | [16] 공유공간 ‘물질’ 운영 : 문화이론 강좌 · 워크샵 · 세미나 · 학술모임 진행 [17] 문화연구자 연구주제 발표 및 공유 : ‘월담’ 진행 [18] 주제연구 및 연구결과물 출판 : 문화와 기술, 노동문화, 대중문화 플랫폼 등 [19] 연구자 네트워크 확장과 신진 연구자 발굴 : 서울지역 문화연구자네트워크 등 | (사) 문화사회 연구소 |
[20] 기술과 미디어, 기술과 노동에 대한 담론화 : 테크노미디어문화포럼 (지속) [21] AI와 자동화기술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포스트휴먼 담론 논의 | 기술 + 미디어 문화위원회 |
집중활동 | 주요 활동 및 사업 | 활동기구 |
공유자원 (커먼즈) 기업 · 행정 독점반대 운동 | [22] 경의선공유지를 비롯한 철도 공유지 개발, 송현동 부지 개발 이슈 대응 [23] 광화문광장 재구조화 졸속추진 중단을 위한 연대 활동 [24] 커먼즈 연구 및 담론 확대 : 커먼즈네트워크포럼, 커먼즈 강좌 및 세미나 진행 | 문화정책센터 |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적폐청산 운동 | [25] 블랙리스트 가해자 문화예술현장 복귀 저지를 위한 연대 활동 [26] 블랙리스트 피해자 집단소송 법률 및 실무업무 지원 [27] 블랙리스트 재발방지를 위한 후속조치 이행 감시와 제도개선 활동 | (가칭) 블랙리스트 특별위원회 |
공정하고 다양한 대중음악 생태계 만들기 운동 | [28] 대중음악산업 정상화와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연구 및 운동의제 발굴 [29] 대중음악 유통과정에서의 불공정 관행 근절을 위한 연대 활동 [30] 음원 플랫폼 내 순위 산정 반대 캠페인 진행 | 문화정책센터 |
기후위기 대응과 생태적 문화사회 만들기 운동 | [31] 문화적 관점에서의 기후위기 직접행동 기획 및 실천 : ‘기후위기 액션스쿨’ [32] 생태적 축제ㆍ스포츠이벤트 만들기 캠페인 진행 : 모니터링, 매뉴얼 제작 [33] 기후위기 관점에서의 문화정책 연구 : 그린뉴딜로서의 예술뉴딜 정책 등 | (가칭) 기후위기 문화행동 |
모두를 위한 스포츠 (Sport For All) 운동 | [34] 스포츠 기본권을 위한 <스포츠기본법>, <서울시 스포츠기본조례> 제정 추진 [35] 체육계 성폭력, 폭력 근절을 위한 ‘메달보다 인권’ 캠페인 진행 [36] 메가스포츠이벤트 반대 활동 : ‘도쿄올림픽 사용설명서’ 발간 | 대안체육회 |
평화체제를 위한 탈분단 문화운동 | [37] 시민참여 북중접경지역 평화감성답사 진행 [38] 북한문화에 대한 이해를 돕는 다양한 인터뷰, 구술사 등의 콘텐츠 제작 및 공유 | 분단문화 위원회 |
항목 | 과목 | 금액 |
후원금 | CMS 정기후원금 | 200,000,000 |
일시후원금 | 130,000,000 | |
특별후원금 | 50,000,000 | |
소계 | 380,000,000 | |
지원금 | 일자리 지원금 | 8,000,000 |
소계 | 8,000,000 | |
수입 합계 | 388,000,000 | |
전년도 이월금 | 39,537,235 | |
수입 총계 | 427,537,235 |
항목 | 과목 | 금액 |
인건비 | 활동비 | 200,000,000 |
상여금 | 1,400,000 | |
소계 | 201,400,000 | |
일반 운영비 | 4대보혐료 | 25,000,000 |
복리후생비 | 500,000 | |
교육훈련비 | 500,000 | |
임차관리비 | 500,000 | |
수도광열비 | 1,500,000 | |
비품소모품비 | 1,500,000 | |
통신비 | 3,000,000 | |
도서인쇄비 | 2,000,000 | |
발송운반비 | 1,000,000 | |
세금공과금 | 500,000 | |
일반보험료 | 600,000 | |
수수료 | 1,000,000 | |
소계 | 37,600,000 | |
사업비 | 일반사업비 | 5,000,000 |
기구사업비 | 5,000,000 | |
특별사업비 | 5,000,000 | |
연대사업비 | 150,000,000 | |
소계 | 165,000,000 | |
기타 | 차입금상환 | 14,000,000 |
소계 | 14,000,000 | |
지출 합계 | 418,000,000 | |
차년도 이월금 | 9,537,235 | |
지출 총계 | 427,537,235 |
내용이 많으니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안건별로 있는 요약내용과 이미지자료를 우선 살펴봐주시기 바랍니다. 총회자료집에는 각 안건의 상세자료까지 수록되어 있으니 전체 내용을 꼼꼼하게 보시고 싶은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총회 안건과 자료를 확인하신 회원분들은 아래에서 안건에 대한 승인여부를 체크해주시고, 의견과 제안을 작성해주세요. 작성해주신 의견과 제안은 3월 2일(월)에 예정되어있는 집행위원회에서 검토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정리된 내용은 빠른 시일 내에 회원분들과 공유하겠습니다.
내용이 많으니 시간이 없으신 분들은 안건별로 있는 요약내용과
이미지자료를 우선 살펴봐주시기 바랍니다. 총회자료집에는
각 안건의 상세자료까지 수록되어 있으니 전체 내용을 꼼꼼하게
보시고 싶은 분들은 참고해주세요.
총회 안건과 자료를 확인하신 회원분들은 아래에서 안건에 대한
승인여부를 체크해주시고, 의견과 제안을 작성해주세요.
작성해주신 의견과 제안은 3월 2일(월)에 예정되어있는
집행위원회에서 검토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정리된 내용은 빠른 시일 내에 회원분들과 공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