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빵
2024년 5월 22일에 보내는 올해 열일곱번째 뉴스레터 |
2024 기후예술행동 기금마련전 <날씨가 이상해>
'2024 기후예술행동 기금마련전 <날씨가 이상해>'는 기후재난과 문명 전환의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인들의 미적 성찰과 상상, 표현과 공감의 장을 펼치기 위해 올해 처음 기획되었습니다. 이번 전시회가 기후재난이라는 전 지구적 위기 속에서 동료 예술인과 시민, 나아가 세계와 연대하는 뜻깊은 시작점이 되길 기대합니다. 전시에 함께해주시는 작가들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공감하며 문화연대 활동에 지지와 격려를 보내주시는 예술가들입니다. 이러한 연대의 토대를 통해 마련한 작품 수익금은, 탄소중립과 탈성장에 부합하는 기후위기 예술 행동을 위해 쓰일 예정입니다. |
긴급토론회_기술미디어문화위원회 플랫폼 공공성의 관점에서 라인야후 사태를 다시 읽기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과도한 국가주의와 반일 정서에 기댄 여론몰이와 정치 쟁점화가 사안의 본질을 흐리고 있습니다. 해외 출자 플랫폼 기업인 라인야후 지분매각을 반대하는 보호론에 견줘, 플랫폼 기업 경영의 불투명성이나 데이터 관리 부실과 유출 문제는 크게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미.중.유럽 등 데이터 주권과 자국민 데이터보호주의 경향 속에서 이번 사태를 국가간 데이터주권 분쟁 사례로 읽으려는 균형감 있는 논의 또한 부족한 상황입니다. 본질적으로 라인야후 사태를 둘러싼 데이터 기술의 사회적 가치와 기술 플랫폼의 공적 역할에 대한 논의가 실종된 상태입니다. 그렇기에 문화연대는 각계 전문가, 이해당사자, 시민사회의 비판적 의견을 모아 기술 공공성과 데이터 주권의 차원에서 라인 사태의 본질적인 쟁점을 공론화하며, 이를 통해 좀 더 깊이 있는 사회적 토론과 합리적인 대책 마련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기획연재_새얼굴 특별하고 엉뚱한. 나는 김겨리 입니다 / 먹는 달래 아닙니다
작년, 문화연대를 찾아주었던 인턴활동가 고유님을 기억하시나요? 올해도 산청간디고등학교에서 멋진 인턴활동가들이 문화연대로 체험학습을 왔어요. 인턴활동가 겨리님은 5월 13일부터 5월 24일까지 2주 동안 문화연대 활동에 함께하고요. 인턴활동가 가은님은 5월 20일부터 5월 31일까지 2주 동안 문화연대 활동에 함께합니다! 두 분의 소개와 문화연대 활동에 기대하는 점을 함께 들어볼까요?
|
활동후기_인턴활동가 김겨리 2024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IDAHOBIT) 공동투쟁 선포 투쟁대회 후기
지난 5월 17일에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을 맞아 11시에 국회의사당 앞에서 ‘모두의 평등, 자유, 정의’를 슬로건으로 한 ‘2024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 공동투쟁 선포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같은 날 19시에는 보신각에서 약 500명의 시민이 참여한 투쟁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1990년 5월 17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동성애를 정신장애 목록에서 삭제한 날입니다. 이 를 기념하고자 5월 17일을 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phobia, Transphobia and Biphobia(IDAHOBIT), 한국어로는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로 지정하였습니다. 매년 이날이 되면 세계 각국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반대하여 함께 연대하고 행동합니다. |
활동홍보_안전연극제 가덕도를 아십니까?문화연대에서 다양한 예술가, 활동가, 연구자와 함께 기후위기 및 가덕도 신공항에 대해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연극을 만들고 있어요.
"기후위기 시대, 신공항 건설로 인해 우리의 안전한 미래가 느리게 하지만 분명하게 위협받고 있습니다. 예술가 · 활동가 · 연구자 등 다양한 시민이 서울 혜화동 1번지에 모여 부산 가덕도에 대해 조목조목 말해봅니다. 우리이기도 하지만, 우리가 아닌 무언가의 시선으로. 부산 가덕도 신공항 건설은 서울에 있는 우리의 일상과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까요? 우리는 서로 완벽한 남남이 될 수 있을까요? 그니깐, 우리가 남이가?!"
창작과 출연은 구지민(구희), 김지연, 미어캣, 상덕, 박이현(문화연대), 이성직, 임오성(Re-Look), 희음 그리고 친구들. 연출은 이성직. 제작은 조목조목.
|
활동홍보_문화학교 오늘 한국의 문화정책을 말하다
동시대 문화정책과 문화운동에 줌 인(zoom in)! 문화연대와 문화사회연구소가 함께 야심차게 준비한 문화학교 오늘 1기 '한국의 문화정책을 말하다' 강의 절찬리에 모집 중! |
활동홍보_집회시위 제대로 시즌 2 집회의 권리 강좌 집시법 넘어 집회의 권리로
교통 소통에 방해 된다, 출퇴근에 방해 된다, 시끄럽다, 불법집회다… 온갖 이유로 집회를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경찰과 집회하는 사람들이 집시법과 권리를 붙잡고 다투면 법원이 ‘적당히’ 둘 사이를 갈라 나눠주고 있습니다. 이러는 사이 권력을 전복하는 집회의 의미는 희미해져갑니다. 방해하고 시끄럽고 저항하는 집회는 어떻게 가능한지 함께 궁리하며 허가와 통제를 넘는 우리의 행동을 위한 집회의 권리 강좌를 엽니다. 문화연대 박이현 활동가가 6월 18일, 패널토크에 함께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문의 _ 공권력감시대응팀 policewatch.kr@gmail.com
|
활동홍보_밀양 송전탑 6.11 행정대집행 10주년 윤석열 핵폭주 원천봉쇄 결의대회
6월 8일 토요일에 열리는 밀양 송전탑 6.11 행정대집행 10주년 "윤석열 핵폭주 원천봉쇄 결의대회" 참가를 위해 다시 타는 밀양 희망 버스를 운영합니다. 각 버스는 청도 삼평리, 밀양 평밭마을, 고정마을에 방문하여 주민들과 함께 사전 행사를 진행한 후, 밀양 영남루 맞은편인 둔치공원에서 함께 모여 결의대회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이 버스는 각 지역에서 밀양으로 출발하여, 다시 각 지역으로 돌아가는 왕복버스입니다. 자세한 안내는 지역별 신청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6월 8일, 모두 밀양에서 만나요 + 많은 신청과 공유 바랍니다! |
연대홍보 가덕도신공항 사업 감사 촉구 릴레이 1인 시위
올해로 예정된 전국 신공항 사업 전면 감사 대상에서 가덕도신공항을 제외한 감사원에 가덕도신공항 감사 촉구를 요구하며, 릴레이 1인시위를 시작합니다. 여기에 함께할 분들을 기다립니다.
- 기간 _ 2024.04.15. ~ (주말 제외)
- 시간 _ 11시 50분 ~ 13시 10분
- 장소 _ 감사원(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112) 앞
- 주최 _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 멸종반란
|
문화빵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이번주 문화빵, 어떻게 보셨나요? 여러분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독자 여러분의 따뜻한 응원과 날카로운 비판은 문화빵을 풍성하게 하는 힘입니다. |
매주 수요일, 문화빵이 가요 문화연대 뉴스레터 '문화빵'을 주문하시면, 문화연대의 성명과 논평, 뉴스브리핑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소식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
더 문화연대하자! 함께 길을 내는 동지가, 그 길을 함께 나아가며 때로는 길잡이가 되어주는 동료가, 길 위에서 지치면 함께 쉬다 다시 손을 맞잡고 일어나는 친구가 되어주세요! |
문화연대 CulturalAction (03708)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81-9, 3층 Tel. 02) 773-7707 ㅣ Fax. 02) 737-3837 | Email. culture918@gmail.com
|
|
|
'2024 기후예술행동 기금마련전 <날씨가 이상해>'는 기후재난과 문명 전환의 시대를 살아가는 예술인들의 미적 성찰과 상상, 표현과 공감의 장을 펼치기 위해 올해 처음 기획되었습니다. 이번 전시회가 기후재난이라는 전 지구적 위기 속에서 동료 예술인과 시민, 나아가 세계와 연대하는 뜻깊은 시작점이 되길 기대합니다.
전시에 함께해주시는 작가들은 기후위기의 심각성에 공감하며 문화연대 활동에 지지와 격려를 보내주시는 예술가들입니다. 이러한 연대의 토대를 통해 마련한 작품 수익금은, 탄소중립과 탈성장에 부합하는 기후위기 예술 행동을 위해 쓰일 예정입니다.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과도한 국가주의와 반일 정서에 기댄 여론몰이와 정치 쟁점화가 사안의 본질을 흐리고 있습니다. 해외 출자 플랫폼 기업인 라인야후 지분매각을 반대하는 보호론에 견줘, 플랫폼 기업 경영의 불투명성이나 데이터 관리 부실과 유출 문제는 크게 논의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 미.중.유럽 등 데이터 주권과 자국민 데이터보호주의 경향 속에서 이번 사태를 국가간 데이터주권 분쟁 사례로 읽으려는 균형감 있는 논의 또한 부족한 상황입니다. 본질적으로 라인야후 사태를 둘러싼 데이터 기술의 사회적 가치와 기술 플랫폼의 공적 역할에 대한 논의가 실종된 상태입니다. 그렇기에 문화연대는 각계 전문가, 이해당사자, 시민사회의 비판적 의견을 모아 기술 공공성과 데이터 주권의 차원에서 라인 사태의 본질적인 쟁점을 공론화하며, 이를 통해 좀 더 깊이 있는 사회적 토론과 합리적인 대책 마련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작년, 문화연대를 찾아주었던 인턴활동가 고유님을 기억하시나요? 올해도 산청간디고등학교에서 멋진 인턴활동가들이 문화연대로 체험학습을 왔어요.
인턴활동가 겨리님은 5월 13일부터 5월 24일까지 2주 동안 문화연대 활동에 함께하고요. 인턴활동가 가은님은 5월 20일부터 5월 31일까지 2주 동안 문화연대 활동에 함께합니다! 두 분의 소개와 문화연대 활동에 기대하는 점을 함께 들어볼까요?
2024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IDAHOBIT) 공동투쟁 선포 투쟁대회 후기
지난 5월 17일에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을 맞아 11시에 국회의사당 앞에서 ‘모두의 평등, 자유, 정의’를 슬로건으로 한 ‘2024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 공동투쟁 선포 기자회견’이 열렸습니다. 같은 날 19시에는 보신각에서 약 500명의 시민이 참여한 투쟁대회가 진행되었습니다.
1990년 5월 17일은 세계보건기구(WHO)가 동성애를 정신장애 목록에서 삭제한 날입니다. 이 를 기념하고자 5월 17일을 International Day Against Homophobia, Transphobia and Biphobia(IDAHOBIT), 한국어로는 ‘국제성소수자혐오반대의날’로 지정하였습니다. 매년 이날이 되면 세계 각국에서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반대하여 함께 연대하고 행동합니다.
일시 _ 5.23.(목)~5.29.(수)
시간 _ 평일 20:00 | 주말 15:00 | 월 쉼
장소 _ 연극실험실 혜화동1번지
한국의 문화정책을 말하다
동시대 문화정책과 문화운동에 줌 인(zoom in)!
문화연대와 문화사회연구소가 함께 야심차게 준비한 문화학교 오늘 1기 '한국의 문화정책을 말하다' 강의 절찬리에 모집 중!
집회의 권리 강좌 집시법 넘어 집회의 권리로
교통 소통에 방해 된다, 출퇴근에 방해 된다, 시끄럽다, 불법집회다… 온갖 이유로 집회를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경찰과 집회하는 사람들이 집시법과 권리를 붙잡고 다투면 법원이 ‘적당히’ 둘 사이를 갈라 나눠주고 있습니다. 이러는 사이 권력을 전복하는 집회의 의미는 희미해져갑니다.
방해하고 시끄럽고 저항하는 집회는 어떻게 가능한지 함께 궁리하며 허가와 통제를 넘는 우리의 행동을 위한 집회의 권리 강좌를 엽니다.
문화연대 박이현 활동가가 6월 18일, 패널토크에 함께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윤석열 핵폭주 원천봉쇄 결의대회
가덕도신공항 사업 감사 촉구 릴레이 1인 시위
올해로 예정된 전국 신공항 사업 전면 감사 대상에서 가덕도신공항을 제외한 감사원에 가덕도신공항 감사 촉구를 요구하며, 릴레이 1인시위를 시작합니다. 여기에 함께할 분들을 기다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