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no. 42. 2009년 용산4구역이, 2020년 용산4구역에게

2020-12-02
조회수 824
두 달 후면 용산참사 12주기입니다. 용산참사 당시 용산4구역 남일당 건물 위 망루 속에서 싸우던 철거민들 중 5
문화연대 주간 뉴스레터

문화빵

v o l .  2 0 2 0 _ 4 2
11월 넷째주

2009년 용산4구역이, 2020년 용산4구역에게

두 달 후면 용산참사 12주기입니다. 용산참사 당시 용산4구역 남일당 건물 위 망루 속에서 싸우던 철거민들 중 5명은 죽었고, 경찰의 곤봉과 뜨거운 불 속에서 살아나온 철거민은 은둔자가 되었습니다. 철거민의 대다수는 재개발된 용산4구역으로 돌아가지 못했고, 여전히 트라우마 속에서 힘겨운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용산4구역에 자리잡은 <2009년 용산참사(기억과 성찰) 기억관>이 개관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난 11년간 ‘용산참사 진상규명위원회’는 매년 1월 20일에 맞추어 추모기간을 정하고, 추모제와 추모전시회 등을 진행했습니다. 그리고 용산참사를 기억하기 위한 이 끈질긴 노력은 추모공간 조성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미 금싸라기 땅, 빌딩숲이 되어버린 용산4구역. <2009년 용산참사(기억과 성찰) 기억관>이 용산4구역의 과거와 현재를 잇고, 나아가 용산참사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일깨우는 공간으로 오랫동안 우리 곁에 있기를 바랍니다.

기획연재 _ 유아 HERE ③
<2009년 용산참사(기억과 성찰기억관개관을 준비하며
  
서울 용산4구역. 2009년 1월 20일. 용산 참사. 용산참사 당시 용산4구역 남일당 건물 위 망루 속에서 화마와 공권력에 싸우던 철거민들 중 5명은 죽었고, 다수는 부상을 당했으며, 대부분 트라우마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고 10년이 지난 2019년 법무부 산하<검찰과거사위원회>는 용산참사 재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부실수사와 강제부검 등 ...





활동후기
비전과 방향성의 부재를 보여준 2021년 서울시 문화관광체육 예산안 

지난 2020년 11월 19일에는 서울시의회와 서울시민재정네트워크가 주최하는 ‘2021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가 있었다. 매년 연말에 진행되는 이날 토론회는 차년도 서울시 예산을 분야별로 분석·평가하고 ...




활동후기 
문화연대 성평등-반성폭력 워크숍 
성평등-반성폭력 운동 첫걸음 떼기

문화연대는 지난 6월 ‘성평등-반성폭력 행동위원회(이하 위원회)’ 설치를 결의하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미투 연대 활동 등과 함께 성평등한 조직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한 논의를 이어가는 중이다. 사실 성평등-반성폭력 운동은 문화연대의 오랜 숙제이기도 하다. 그간 체육계를 비롯한 문화예술계 성폭력 문제에 여러 연대 활동을 해왔지만 ...



문화연대 주간 뉴스 브리핑  2020년 11월 4주차
이슈왈왈 no. 34.

1. 광화문광장 공사 강행은 대의 민주주의를 무시한 처사다  
서울시가 지난 9월 28일 광화문광장 사업의 재개를 기습적으로 발표한데 이어 지난 11월 16일 광화문광장 공사를 기습적으로 착수했다. 이에 문화연대를 비롯한 9개의 ...

2. 문화체육관광부는 성차별과 성폭력이 만연한 문화예술계 현장을 직시하고 있는가
2019년 12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발표한 <글로벌 젠더 격차 보고서 2020>에서 한국은 ‘젠더 격차 지수(GGI)’가 0.672(전체 평균 0.686)에 그쳐 조사 대상 153개국 중 108위를 기록한 것으로 드러났다. 




활동후기
쌀쌀한 날, 전골 노래자랑  

세상엔 온갖 종류의 국물요리가 있다. 그 중 전골이라 함은 자박자박한 국물요리에 다양한 식재료가 들어가 서로 조화를 이루는 요리이다. 김치가 주재료이면 김치전골이고, 두부가 들어가면 두부전골, 버섯이 들어가면 버섯전골이 된다. 지역별로 나는 식재료가 다 다르기에 전국적으로 아마 수십 수백의 전골요리가 존재하고 있을 것이다. 지난 11월 17일 돌곶이생활예술문화센터에서 전골노래자랑이 ...





연대홍보
죽음의 경주를 멈춰라!
문중원 열사 1주기 추모 주간 
2020. 11. 23 ~ 11. 28. 토

<한국마사회 적폐청산 시민대책위원회>는 문중원 열사 1주기를 맞아, 추모 주간을 정하고 사업을 진행합니다문중원 열사 죽음 이후에도 과천경마장의 마필관리사 두 분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바 있습니다. 죽음의 경주를 멈추기 위해 여러분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합니다.

  • 1주기 묘역 참배
    11. 28. . 14:00양산 솥발산
  • 1주기 추모 문화제
    11. 28. . 17:30, 부산역 광장

문의 : 김혜진 010-4538-0051한대식 010-6630-2005

연대홍보
청년비정규직 노동자 故 김용균 2주기
추모위원이 되어주세요!  

12월 10일은 故 김용균 노동자의 사고 2주기입니다. 하지만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제정, 특조위권고안, 정부후속대책 등 이행돼야 할 약속들이 많이 남아있습니다. 일하는 모든 사람에게 안전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활동에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문의 : 최민 010-7767-9618, 권미정 010-3365-9404  




연대홍보
뜨개농성 같이해요!
제주 강정마을 해군기지 앞 작은 미사 천막을 뜨개 편물로 예쁘게 덮어요 : )

  • 크기 : 가로 30 × 세로 30cm
  • 수량 : 자유
  • 마감일 : 2020. 11. 30. 월.
  • 보낼곳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81-9 3층, 문화연대 
  • 연락처 : 010 - 9270 - 0830





매주 수요일, 문화빵이 배달됩니다
문화연대 뉴스레터 '문화빵'을 주문하시면, 문화연대의 성명과 논평, 뉴스브리핑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소식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더 문화연대하자! 
함께 길을 내는 동지가, 그 길을 함께 나아가며 때로는 길잡이가 되어주는 동료가, 길 위에서 지치면 함께 쉬다 다시 손을 맞잡고 일어나는 친구가 되어주세요!
문화연대 CulturalAction
(03708)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81-9, 3층  
Tel. 02) 773-7707 ㅣ Fax. 02) 737-3837  |  Email. culture918@gmail.com

본 메일에 대한 문의는 여기로 연락바랍니다. Copyright © 2020 Culturalaction All rights reserved.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