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후기_멸종반란·멸종저항서울 일곱번째 피고인으로, 기후재판에 나서다
지난 2021년 3월 15일, 멸종반란·멸종저항서울의 여섯 명의 활동가는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를 찾아가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의 국회 통과를 규탄하는 액션을 진행했습니다. 이에 대해 지난 2023년 3월 21일에 재판이 있었고, 피고인이자 활동가인 김선철, 조은혜, 한재각에 대한 신문과 여섯 활동가의 최종변론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날 문화연대 활동가를 비롯해 많은 시민들은 일곱번째 피고인으로서, 방청 연대에 나섰습니다. |
활동영상_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길 잃은 별들과 함께 부르는 노래
어제 문화연대가 적극 결합하고 있는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에서 백 쉰 아홉 번째 희생자가 별이 된 지 100일이 되는 날을 맞아 추모문화제를 진행했습니다. 문화제 현장을 기록한 생중계 영상을 공유합니다. |
활동홍보_차별금지법제정연대 연속토론회 차별의 구조에 맞서는 도전, 평등을 향한 연대
"구조적 차별은 없다?" '차별의 구조'를 밝히며 이에 도전해온 운동의 역사와 함께 각 의제별 쟁점을 살펴보고, 평등을 향한 사회적 연대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고 나눕니다!
- 일시 _ 2023년 3~4월 화/목 저녁 7시 30분~9시 30분, 총 5회차
- 장소 _ 참여연대 아름드리홀 (서울시 종로구 자하문로9길 16, 2층)
- 대상 _ 관심 있는 사람 누구나 (참가비 없음)
- 주관 _ 차별금지법제정연대 정책담론팀
- 주최 _ 차별금지법제정연대
- 참가신청 _ bit.ly/structure-challenge
|
연대홍보_꽃다지 꽃다지 후원주점 酒문
문화연대의 오랜 친구, 꽃다지가 30년을 맞이하여 지속적 활동비용 마련을 위해 후원주점을 열어요. 희망의 노래 꽃다지가 노동자의 삶과 투쟁을 계속 노래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연대홍보_소셜부스 공익활동가를 위한 맞춤형 커리어공간 '소셜부스'
공익활동가를 위한 맞춤형 커리어공간 '소셜부스'에 문화연대 직장 리뷰를 등록하였습니다. 활동가가 직접 자기 활동의 전망을 세우고, 실천할 수 있는 조직, 문화연대! 일터로서 문화연대는 어떤지 더 알아보고 싶은신 분들은 방문해주세요. |
문화빵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이번주 문화빵, 어떻게 보셨나요? 여러분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남겨주세요.독자 여러분의 따뜻한 응원과 날카로운 비판은 문화빵을 풍성하게 하는 힘입니다. |
매주 수요일, 문화빵이 배달됩니다 문화연대 뉴스레터 '문화빵'을 주문하시면, 문화연대의 성명과 논평, 뉴스브리핑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소식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
더 문화연대하자! 함께 길을 내는 동지가, 그 길을 함께 나아가며 때로는 길잡이가 되어주는 동료가, 길 위에서 지치면 함께 쉬다 다시 손을 맞잡고 일어나는 친구가 되어주세요! |
문화연대 CulturalAction (03708)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81-9, 3층 Tel. 02) 773-7707 ㅣ Fax. 02) 737-3837 | Email. culture918@gmail.com
|
|
|
지난 2021년 3월 15일, 멸종반란·멸종저항서울의 여섯 명의 활동가는 더불어민주당 중앙당사를 찾아가 가덕도 신공항 특별법의 국회 통과를 규탄하는 액션을 진행했습니다. 이에 대해 지난 2023년 3월 21일에 재판이 있었고, 피고인이자 활동가인 김선철, 조은혜, 한재각에 대한 신문과 여섯 활동가의 최종변론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날 문화연대 활동가를 비롯해 많은 시민들은 일곱번째 피고인으로서, 방청 연대에 나섰습니다.
길 잃은 별들과 함께 부르는 노래
어제 문화연대가 적극 결합하고 있는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에서 백 쉰 아홉 번째 희생자가 별이 된 지 100일이 되는 날을 맞아 추모문화제를 진행했습니다. 문화제 현장을 기록한 생중계 영상을 공유합니다.
차별의 구조에 맞서는 도전, 평등을 향한 연대
"구조적 차별은 없다?"
'차별의 구조'를 밝히며 이에 도전해온 운동의 역사와 함께 각 의제별 쟁점을 살펴보고, 평등을 향한 사회적 연대의 방향을 함께 고민하고 나눕니다!
문화연대의 오랜 친구, 꽃다지가 30년을 맞이하여 지속적 활동비용 마련을 위해 후원주점을 열어요.
희망의 노래 꽃다지가 노동자의 삶과 투쟁을 계속 노래할 수 있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