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소식


행사2023년 서교예술실험센터 공론장 <앞으로를 위한, 서교예술실험센터 15년의 평가>

2023-11-29
조회수 1268

"(이대로라면) 서교예술실험센터는 사라진다"

■ 일시: 2023년 12월 2일(토) 14:00-20:00
■ 장소: 서교예술실험센터 1층 예술다방
■ 신청링크: https://forms.gle/pzUvLkeLuF7SZPXAA
■ 사회 : 김민수(독립기획자, 서교예술실험센터 11기 공동운영단)
■ 발제 : 김솔지(서교예술실험센터 2기 공동운영단), 김서령(전 서울문화재단 예술청 공동청장), 하장호(공유성북원탁회의 운영위원), 김재상(문화연대), 정문식(홍우주 사회적협동조합 이사)

■ 오픈마이크 : 서교멤버스 | 정문식(공동운영단 1기), 김솔지(공동운영단 2기), 현소영(공동운영단 3기), 류승완(공동운영단 4기), 봄로야(공동운영단 5기), 강정아(공동운영단 5기), 김민관(공동운영단 6기), 남하나(공동운영단 6기), 성진영(공동운영단 7기), 황유택(공동운영단 8기), 이려진(공동운영단 9기), 진저팝(공동운영단 10기), 정지연(스트리트H 편집장), 백교희(서울프린지페스티벌 사무국장), 단편선(홍우주 사회적협동조합 이사장), 유모라(홍우주 사회적협동조합 이사), 이다혜(플랫폼P 입주사협의회), 송덕호(마포FM 대표), 함현희(공상온도 대표), 임기택(안무가/링크 참여자), 이민정(작가/공론장 참여자), 박해우(작가/링크 참여자), 김희진(작가/링크 참여자), 박세은(안무가/네트워크 사업 참여자), 최영우(작가/링크 참여자), 이용석(기획자/대책회의 참여자), 성연준(작가/대책회의 참여자), 임진광(작가/네트워크 사업 참여자), 신민(작가/소액多컴 참여자), 오로민경(작가/네트워크 사업 참여자), 신보섭(음악가/네트워크 사업 참여자), 양영모(작가/대책회의 참여자), 문형민(작가/대책회의 참여자)


■ 참여 신청 https://bit.ly/3RipI3I


마포구 소유 건물에서 서울문화재단이 운영해온 서교예술실험센터는 건물의 노후화로 인해 장기간 보수가 필요하며, 공간 보수를 위해서는 향후 공간 용도 확정과 사용 계획 수립이 필요하나 마포구는 공간 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서교예술실험센터 공론장 프로젝트는 공간 사용 계약 종료를 공론화했던 12월 공론장을 시작으로, 홍대 앞 사람들이 모여 이 지역의 특수성에 대해 말한 <지금, 홍대앞 사람들>, 플랫폼피와 서교의 사례를 통해 예술공간의 필요성에 대해 얘기한 <도시와 예술공간>을 거쳐, 구체적인 정무적 대응 전략을 논의하는 <계약종료 대책회의>까지 이어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지난 15년을 돌아보며 서교예술실험센터가 쌓아온 무엇을 남겨야할지, 그리고 어떤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야할지를 나누고자 합니다. 이 목소리가 힘을 갖고 누군가에게 닿기를 기대하면서요.


1부의 발제 및 토론을 통해 서교예술실험센터의 성과와 한계를 들여다본다면, 2부는 서교예술실험센터와 추억을 갖고 있는 이들이 자유롭게 3분 내외의 이야기를 오픈마이크가 예정되어있습니다. 누구든 편하게 각자의 경험을 나누고 마포구로 이관된 이후의 서교예술실험센터를 위한 제언을 할 수 있으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서교예술실험센터는 급변하는 홍대앞 문화예술생태계 속에서 공동운영단 시스템을 통해 예술가 당사자의 목소리를 반영한 사업을 기획하고, 신진예술가들과 스스로 길을 만들어가는 예술가에게 기회를 제공하며, 과정 중심의 실험 예술 지원 등 중요한 화두를 던져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불확실함 앞에, 서교예술실험센터를 지키기 위해 함께 관계 맺어주신 여러분들의 연대가 필요합니다. 서교예술실험센터에 대해 함께 고민해줄 참가자를, 지속적으로 이야기를 이어주실 소중한 동료를 찾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 문의: 서교예술실험센터(02-333-7217/wbr920@sfa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