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 · 성명


기자회견이태원역 1번 출구 앞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선언과 중간정비 촉구 기자회견

2023-08-08
조회수 630




  • 제목 :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선언과 중간정비 촉구 기자회견  

  • 주최 :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 주관 :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 

  • 일시 : 2023년 8월 8일(화) 오전 11시 

  • 장소 : 용산구청 앞

  • 사회 : 자캐오 10.29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 순서

    • 발언1. 이정민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 (이주영 아버지)

    • 발언2. 박이현 ‘기억과 안전의 길’ 현장 정비 참여, 문화연대 활동가

    • 발언3. 유가족 김화숙 님 (김현수 어머니)

    • 발언4. 이철로 10.29참사 추모 및 책임자 처벌촉구 용산시민행동 간사

    • 기자회견문 낭독. 유가족 최정주 님 (최유진 아버지), 명숙 인권운동 바람 활동가



▣ 붙임자료.  기자회견문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을 위한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한다


우리는 지난 2022년 12월 23일 참사가 일어난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참사 당시 또 다른 피해자이자 목격자이며 때로 구조자이기도 했던 지역상인분들과 협약을 맺은 사실을 알렸다. 그동안 중앙정부는 물론, 서울시와 용산구청은 무책임하고 무능하게 대응하며 갈등과 아픔을 유발했다. 우리는 이런 무책임과 무능으로 인해 피해자들과 이태원 지역사회가 더 큰 아픔을 겪지 않기를 바라며, 중앙・지방 정부의 공적 책임을 요구하고 피해자들간의 대화와 공감을 확인하려고 노력해왔다.

이에 참사의 기억을 제대로 보존하고 이태원의 안전을 자리매김하기를 바라는 피해자와 시민사회는,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피해자권리위원회의 중재 가운데 몇 번의 현장 임시 정비를 진행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초래한 갈등이 참사의 본질을 흐리지 않기를 간절히 바랐다.

감히 숫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심각한 희생을 초래한 10.29 이태원 참사의 본질은, 이태원도 할로윈 축제도 아니다. 공적 안전 장치와 구조를 마련할 의무를 지니고도 움직이지 않은 중앙・지방 정부와 책임자들이, 바로 그 원흉이다. 그런데 참사 직후부터 지금까지 그 어느 누구도 제대로 된 책임을 지지 않고 있다. 심지어 고위직일수록 너무나도 뻔뻔하고 적극적으로 책임을 회피하기 바쁜 게 현실이다.

참사 이후 재발 방지와 온전한 회복을 위해 제대로 정비되고 기억되어야 할 참사 현장에 대한 책임과 지원도 부재하긴 마찬가지다. 작년 12월 협약서를 맺은 이태원 관광특구연합회, 유가족협의회, 시민대책회의 삼자가 요구해 온 참사 현장의 중간 정비 요청은 용산구청에 의해 일관되게 무시당하고 있다.

그로 인해 수많은 시민과 방문자, 주민들이 자신의 일처럼 여기며 남긴 추모와 애도, 재발 방지 요청을 담은 기록물 보존은 물론, 참사 현장에 대한 중간 정비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참사 현장을 정비하고 관리하는 것, 그리고 그 과정에 유가족과 시민의 참여를 보장·지원하는 건, 공공 기관이 마땅히 감당해야 할 '공적 역할'이다. 그런데 참사 직후부터 현재까지, 이 모든 일에 가장 적극적이어야 할 용산구청은 매우 소극적이다 못해, 무책임하게 방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리는 더 이상 이를 지켜보고만 있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여름이 가면 이제 곧 다가오는 참사 1주기 전에 세 주체가 약속한 협약서의 정신을 제대로 이행하기 위해, 우리는 참사 현장 골목을 '기억과 안전의 길'로 선언하고 이를 위해 적극적인 '중간 단계 정비'를 촉구한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첫째, 참사 직후부터 최근까지 이번 참사의 최일선 책임 기관 수장이자 실질적 책임자인 박희영 구청장은 제대로 책임을 인정하고 그 죄를 감당하는 모습을 보이기 보다는 '언론 플레이'를 하기 바빴다. 언론 앞에서는 유가협의 어떤 요청도 들어줄 것처럼 말하지만, 유가협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진정성은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는 재판 과정은 물론, 그 어떤 순간에도 본인의 공적이고 법적인 책임은 물론 정치적이고 도의적인 책임조차 제대로 인정한 적이 없다.
우리가 억울하게 죽어간 희생자들을 앞에 두고 무책임하고 몰염치한 책임자와 마주 앉을 수 있겠는가? 박희영 구청장은 이번 참사의 최일선 책임 기관 수장이자 실질적 책임자로 분명하게 책임을 인정하고, 그 죄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을 명확히 밝히기 바란다. 그러지 않고서는 우리가 '기억과 안전의 길' 조성 과정에서 그와 마주할 일은 단 한 순간도 없을 것임을 분명하게 밝힌다.

둘째, 10.29 이태원 참사의 최일선 책임 기관으로 적극적인 공적 역할을 감당해야 하는 용산구청은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인 대화와 지원책을 마련하라. 이 과정에서 참사 현장을 '기억과 안전의 길'로 명명하고 선언하는 우리의 마음을 받아, 참사 현장에 제대로 된 기억과 안전이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찾기 위해 적극 참여하고 협조하기를 바란다.

셋째, 우리는 작년에 협약서를 체결한 이후, 용산구청에 '참사대책추진단'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지금까지 참사대책추진단이 제대로 된 역할과 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참사대책추진단의 책임자가 적극 나서기를 요구한다. 책임 면피를 위한 이름 뿐인 대책기구가 아니라면, 희생자와 피해자, 시민들의 입장에 서서 적극적인 대화와 역할, 지원을 감당하는 모습을 한시라도 빨리 보여주기를 촉구한다.


2023. 8. 8.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