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대 성명]
'이념 기술자' 유인촌의 문화부 장관 내정을 반대한다.
윤석열 정부 첫 문화체육부 장관이었던 박보균 장관이 경질되고 유인촌이 장관에 내정됐다. 지난 7월 6일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특별보좌관(문화특보)에 취임한지 약 2달 만에 장관에 내정된 것이다. 유인촌은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인 2008년 2월부터 문화부 장관을 맡아 2011년 1월까지 3년 가까운 시간 동안 장관직을 역임한 문화부 최초의 특보이자 유일하게 특보직을 맡은 인물로 문화부 장관에 재직하던 당시 막말 논란과 진보성향의 인사 찍어내기 등 여러 논란의 정치적 행보를 보여 온 인물이다.
특히,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된 직후 그는 “이전 정권의 정치색을 가진 문화예술계 단체장들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말하며 전 정권에서 임명된 단체장 물갈이에 대한 입장을 밝힌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황지우 총장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김정헌 위원장 등 임기가 보장된 산하 단체장의 사퇴를 종용하는 등 해임 사태를 일으켰으며, 이 같은 행보는 이후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자행된 국가범죄인 블랙리스트 사건의 시작점이었다.
이미 그가 문화특보에 임명될 때부터 문화예술계와 여·야에서는 깊은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당시 문화연대는 유인촌의 문화특보 임명을 두고 과거 블랙리스트 악몽이 윤석열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고 논평한 바 있으며,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대변인은 “유 특보의 임명으로 윤 대통령의 문화예술관은 명백해졌다”라며 “엄혹한 블랙리스트의 시대, 과거의 망령이 다시 돌아오고 표현의 자유와 창작의 자유가 사라진 폭정의 시대가 열렸다”라고 비판을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일관되게 공정하고 상식이 통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유인촌 장관이 이명박 정부 시절 장관직을 수행하면서 진행한 '진보 성향 인사 찍어내기'는 결국 법원에서 모두 위법하다는 판결을 확정 받았다. 이와 관련해 2011년 1월 국회 인사청문회에 나선 같은 당의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유인촌 장관 시절 벌어진 김정헌 전 위원장과 김윤수 전 관장 등 산하 기관장 해임에 대해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유인촌의 장관직 수행에 그 어떤 공정도 상식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막말과 차별, 혐오로 가득했던 그의 장관 시절을 우리는 왜 다시금 반복해야 하는가?
특히, 최근 유인촌이 특보시절 모 언론사와 인터뷰에서 “예술을 정치적 도구로 삼는 건 공산국가에서나 하는 일이다”라고 이야기했다. 그가 문화부 장관이었던 시절 이명박 정부에서 진행된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을 보면 건전문화세력 형성. 항구적 우파 문화권력 유지를 위한 근본대안은 우수한 우파 전문인력 이라는 내용이 있다. 바로 친정부적인 건전문화세력 육성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념의 굴레에 갇힌 내용들이다. 그렇다면 유인촌 당신은 공산국가에서나 하던 일을 수행했던 장관이라는 말인가?
우리는 이러한 유인촌을 다시금 장관직에 앉힌 윤석열 정부의 문화정책에 심히 우려를 표한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7월, 신임 차관들을 임명하는 자리에서 통일부, 교육부, 환경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이념 부처’라고 언급했다. 특히, 문화부의 경우 좌파 성향을 띈 시민단체들과 끈끈한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으며, 좌파 인사들이 문화예술계를 오랫동안 장악해왔다는 사실도 문제 삼았다.
이번 발언은 이른바 진보적인 문화권력의 청산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던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행보를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문제적이며,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진보적 예술인 중심으로 편향된 문화예술계를 바로잡겠다고 만든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의 철학과도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이번 유인촌에 대한 문화부 장관 내정은 ‘좌파척결’을 외치며 일하던 그의 기술을 빌어 다시금 문화예술계를 이념전쟁의 장으로 만들기 위함이 아닐 수 없다.
아직은 바로 잡을 시간이 있다. 국회의 시간도 남았으며, 문화예술계 역시도 유인촌의 장관직 임명을 필사적으로 막을 것이다. 9월 13일 빅터뉴스에 따르면 주요포탈에서 유인촌 문화부 장관 뉴스에 달린 댓글 중 82.47%가 부정적인 댓글이라는 분석이 있다.
이러한 정서의 바탕에 깔린 민심을 윤석열 정부가 읽지 못한다면 엄청난 국민적 저항을 받게 될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이념논쟁과 진보적 성향의 문화예술인 척결이라는 허황된 망상에서 깨길 바라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가해자들을 복귀시키려는 행위를 중단하고, 이번 정부에서 발생한 <윤석열차> 등 블랙리스트 사건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모습을 보이길 바란다.
2023년 9월 14일
문화연대
[문화연대 성명]
'이념 기술자' 유인촌의 문화부 장관 내정을 반대한다.
윤석열 정부 첫 문화체육부 장관이었던 박보균 장관이 경질되고 유인촌이 장관에 내정됐다. 지난 7월 6일 윤석열 정부 문화체육특별보좌관(문화특보)에 취임한지 약 2달 만에 장관에 내정된 것이다. 유인촌은 이명박 정부 출범 당시인 2008년 2월부터 문화부 장관을 맡아 2011년 1월까지 3년 가까운 시간 동안 장관직을 역임한 문화부 최초의 특보이자 유일하게 특보직을 맡은 인물로 문화부 장관에 재직하던 당시 막말 논란과 진보성향의 인사 찍어내기 등 여러 논란의 정치적 행보를 보여 온 인물이다.
특히,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된 직후 그는 “이전 정권의 정치색을 가진 문화예술계 단체장들은 스스로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이 자연스럽다”고 말하며 전 정권에서 임명된 단체장 물갈이에 대한 입장을 밝힌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황지우 총장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김정헌 위원장 등 임기가 보장된 산하 단체장의 사퇴를 종용하는 등 해임 사태를 일으켰으며, 이 같은 행보는 이후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자행된 국가범죄인 블랙리스트 사건의 시작점이었다.
이미 그가 문화특보에 임명될 때부터 문화예술계와 여·야에서는 깊은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당시 문화연대는 유인촌의 문화특보 임명을 두고 과거 블랙리스트 악몽이 윤석열 정부에서 본격적으로 재현될 가능성이 크다고 논평한 바 있으며,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대변인은 “유 특보의 임명으로 윤 대통령의 문화예술관은 명백해졌다”라며 “엄혹한 블랙리스트의 시대, 과거의 망령이 다시 돌아오고 표현의 자유와 창작의 자유가 사라진 폭정의 시대가 열렸다”라고 비판을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일관되게 공정하고 상식이 통하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유인촌 장관이 이명박 정부 시절 장관직을 수행하면서 진행한 '진보 성향 인사 찍어내기'는 결국 법원에서 모두 위법하다는 판결을 확정 받았다. 이와 관련해 2011년 1월 국회 인사청문회에 나선 같은 당의 정병국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유인촌 장관 시절 벌어진 김정헌 전 위원장과 김윤수 전 관장 등 산하 기관장 해임에 대해 "문제가 있었다"고 인정하기도 했다. 유인촌의 장관직 수행에 그 어떤 공정도 상식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막말과 차별, 혐오로 가득했던 그의 장관 시절을 우리는 왜 다시금 반복해야 하는가?
특히, 최근 유인촌이 특보시절 모 언론사와 인터뷰에서 “예술을 정치적 도구로 삼는 건 공산국가에서나 하는 일이다”라고 이야기했다. 그가 문화부 장관이었던 시절 이명박 정부에서 진행된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을 보면 건전문화세력 형성. 항구적 우파 문화권력 유지를 위한 근본대안은 우수한 우파 전문인력 이라는 내용이 있다. 바로 친정부적인 건전문화세력 육성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념의 굴레에 갇힌 내용들이다. 그렇다면 유인촌 당신은 공산국가에서나 하던 일을 수행했던 장관이라는 말인가?
우리는 이러한 유인촌을 다시금 장관직에 앉힌 윤석열 정부의 문화정책에 심히 우려를 표한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 7월, 신임 차관들을 임명하는 자리에서 통일부, 교육부, 환경부와 문화체육관광부를 ‘이념 부처’라고 언급했다. 특히, 문화부의 경우 좌파 성향을 띈 시민단체들과 끈끈한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으며, 좌파 인사들이 문화예술계를 오랫동안 장악해왔다는 사실도 문제 삼았다.
이번 발언은 이른바 진보적인 문화권력의 청산을 주요 정책으로 내세웠던 이명박-박근혜 정부의 행보를 연상시킨다는 점에서 매우 문제적이며,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진보적 예술인 중심으로 편향된 문화예술계를 바로잡겠다고 만든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의 철학과도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이번 유인촌에 대한 문화부 장관 내정은 ‘좌파척결’을 외치며 일하던 그의 기술을 빌어 다시금 문화예술계를 이념전쟁의 장으로 만들기 위함이 아닐 수 없다.
아직은 바로 잡을 시간이 있다. 국회의 시간도 남았으며, 문화예술계 역시도 유인촌의 장관직 임명을 필사적으로 막을 것이다. 9월 13일 빅터뉴스에 따르면 주요포탈에서 유인촌 문화부 장관 뉴스에 달린 댓글 중 82.47%가 부정적인 댓글이라는 분석이 있다.
이러한 정서의 바탕에 깔린 민심을 윤석열 정부가 읽지 못한다면 엄청난 국민적 저항을 받게 될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이념논쟁과 진보적 성향의 문화예술인 척결이라는 허황된 망상에서 깨길 바라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가해자들을 복귀시키려는 행위를 중단하고, 이번 정부에서 발생한 <윤석열차> 등 블랙리스트 사건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모습을 보이길 바란다.
2023년 9월 14일
문화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