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문화재단 예술청은 예술인의 적극적 참여를 바탕으로 재단과 서울시, 예술계가 함께 구축한 거버넌스 조직이다. 2016년 '서울예술인플랜'을 통해 준비가 시작되었고, 지난 5년간 일만여 명 이상의 예술인과 예술계 주체들의 헌신에 힘입어 출범했다.
ᅠ
2022년 7월 18일, 서울문화재단 이창기 대표는 경영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명목으로 예술청의 공동운영 주체인 예술인들과 일체 협의 없이 예술청 지위를 격하시키는 독선적 조치를 단행했다. 이로 인해 예술청의 가치와 규범이 훼손되고, 독립성과 자율성 침해의 위험이 초래됐다. 아울러, 사업이 한창 진행 중인 7월에 재단의 예술청팀 구성원들을 일방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예술청의 역할과 운영에 심대한 혼란을 야기했다.
ᅠ
문제의 저변에는 참여민주주의와 문화예술 거버넌스에 대한 서울시 문화행정의 몰이해, 무감각이 자리 잡고 있다. 서울시는 문화예술인 생존과 권리, 권익을 보호, 증진하는 협치의 거점으로 예술청을 개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청의 근간을 무시한 조직개편을 방관함으로써 문화협치의 역행을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그간 예술청이라는 시공간에서 수년간 쌓아온 협치를 일방적으로 무너뜨린 역행에 대해, 예술청 공동운영단 민간위촉직 위원들의 성명이 있었고, 이를 지지하는 203곳의 문화예술단체와 705명의 예술인이 연명한 성명이 이어서 발표됐다.
오늘 우리는 이번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의 시대착오적인 인식과 독단적인 행정력 남용으로 야기된 예술청 사태를 규탄하고, 협치의 플랫폼인 예술청의 정상화를 위해 “예술청 정상화를 위한 공동행동”이라는 이름으로 공동대책위를 출범한다.
우리는 서울문화재단의 독선과 오만, 서울시의 책임 방기를 강력히 규탄하며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ᅠ
하나, 서울문화재단 이창기 대표는 민관협치를 무시하고 무력화한 조치들에 대해 책임지고 사과하라!
ᅠ
하나,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청의 근간을 흔드는 조직개편을 즉각 철회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라!
ᅠ
하나,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청을 비롯한 민관협치 조직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운영 발전방안을 마련하라!
ᅠ
하나, 서울시는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민관협치 조례를 제정하라!
행정 기술적인 문제로 서울문화재단 산하에 예술청이 편제되었으나, 예술청은 재단 기관장이 일방적으로 그 지위를 좌우할 수 있는 재단의 소유물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예술인 및 시민 연대를 통해 예술청 정상화를 위한 행동과 공론화에 나설 것이다. 작금의 상황은 서울문화재단 신임 대표의 독선과 서울시의 방관에 의해 촉발된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마땅히 모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예술청정상화를위한공동대책위 출범 기자회견
‘서울문화재단 이창기 대표는 억지 해명을 멈추고 예술청 정상화에 나서라!‘
서울문화재단 예술청은 예술인의 적극적 참여를 바탕으로 재단과 서울시, 예술계가 함께 구축한 거버넌스 조직이다. 2016년 '서울예술인플랜'을 통해 준비가 시작되었고, 지난 5년간 일만여 명 이상의 예술인과 예술계 주체들의 헌신에 힘입어 출범했다.
ᅠ
2022년 7월 18일, 서울문화재단 이창기 대표는 경영 효율성을 제고한다는 명목으로 예술청의 공동운영 주체인 예술인들과 일체 협의 없이 예술청 지위를 격하시키는 독선적 조치를 단행했다. 이로 인해 예술청의 가치와 규범이 훼손되고, 독립성과 자율성 침해의 위험이 초래됐다. 아울러, 사업이 한창 진행 중인 7월에 재단의 예술청팀 구성원들을 일방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예술청의 역할과 운영에 심대한 혼란을 야기했다.
ᅠ
문제의 저변에는 참여민주주의와 문화예술 거버넌스에 대한 서울시 문화행정의 몰이해, 무감각이 자리 잡고 있다. 서울시는 문화예술인 생존과 권리, 권익을 보호, 증진하는 협치의 거점으로 예술청을 개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청의 근간을 무시한 조직개편을 방관함으로써 문화협치의 역행을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그간 예술청이라는 시공간에서 수년간 쌓아온 협치를 일방적으로 무너뜨린 역행에 대해, 예술청 공동운영단 민간위촉직 위원들의 성명이 있었고, 이를 지지하는 203곳의 문화예술단체와 705명의 예술인이 연명한 성명이 이어서 발표됐다.
오늘 우리는 이번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의 시대착오적인 인식과 독단적인 행정력 남용으로 야기된 예술청 사태를 규탄하고, 협치의 플랫폼인 예술청의 정상화를 위해 “예술청 정상화를 위한 공동행동”이라는 이름으로 공동대책위를 출범한다.
우리는 서울문화재단의 독선과 오만, 서울시의 책임 방기를 강력히 규탄하며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ᅠ
하나, 서울문화재단 이창기 대표는 민관협치를 무시하고 무력화한 조치들에 대해 책임지고 사과하라!
ᅠ
하나,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청의 근간을 흔드는 조직개편을 즉각 철회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라!
ᅠ
하나, 서울문화재단은 예술청을 비롯한 민관협치 조직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는 운영 발전방안을 마련하라!
ᅠ
하나, 서울시는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민관협치 조례를 제정하라!
행정 기술적인 문제로 서울문화재단 산하에 예술청이 편제되었으나, 예술청은 재단 기관장이 일방적으로 그 지위를 좌우할 수 있는 재단의 소유물이 아니다. 이제 우리는 예술인 및 시민 연대를 통해 예술청 정상화를 위한 행동과 공론화에 나설 것이다. 작금의 상황은 서울문화재단 신임 대표의 독선과 서울시의 방관에 의해 촉발된 것임을 분명히 밝힌다. 마땅히 모든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ᅠ
2022년 8월 18일
예술청 정상화를 위한 문화예술인 공동행동
공연예술인노동조합, 노동당 문화예술위원회, 마네트, 무용인희망연대 오롯, 문화민주주의실천연대, 문화연대,
예비예술인연대, 예술청정상화대책회의, 2019-2020 예술청기획단, 2020 예술청운영준비단,
서교예술실험센터10기공동운영단, 표현의자유포럼, 사단법인 나라풍물굿
기자회견 영상 [ 유튜브에서 보기]